유기농 제품을 먹기 위해 더 지불할 가치가 있는가? 답은 심플하지 않다. 제품에 따라서 예스, 혹은 노가 될 수도 있다.
전에 인터넷에서 유기농 오이, 자연재배 오이, 일반 오이를 실온에 장시간 두었을때의 실험에 대해 읽은 적이 있다. 유기농 오이가 가장 먼저 썩었고 그리고 (농약을 쓴)일반오이가 썩었다. 여기까지 보면 유기농은 약을 안 쳐서 금방 썩나 하는 의구심을 가질 수도 있다. 근데 문제는 말라 비틀어 지기 전에 썩는다는 것이다. 자연재배 오이는 마르면서 시든 후 더 시간이 지나면 발효된다는 결과이다. 썩는 것과 시드는 것의 차이를 만드는 것은 부패균과 발효균 중 어느 것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느냐에 있다. 뭐 그런 복잡한 사연은 접어 두고 결과만 보면 유기농 농작물을 먹어야 하느냐 마느냐 하는 고민을 하게 된다. 자연재배오이가 없다면 차선인 유기농 오이를 선택해야 할지 모른다. 하지만 여기서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은 이 오이들이 모두 같은 종자의 오이인가이다.
유기농 재배는 그 만큼 일정 기간에 약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아무리 좋은 흙에서 기른다고 해도 병충해에 약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유기농 재배에 사용되는 종자는 유전자 조작으로 탄생한 것들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유전자 조작 농산물(GMO). 쉽게 말해서(좀 순화해서 말하자면) 하이브리드 종자(hybrid seeds)는 잡종강세(hybrid vigor, 하이브리드 과정에서 우수형질만 취하는 것), 균일화된 종자들, 병충해 저항력 등에서 일반 종자들 보다 뛰어나기 때문이다. 여기서 왜 유기농 제품이 더 비쌀 수 밖에 없는지 알 수 있다.
유기농 재배는 초기 설비투자 비용 등의 초과 지출, 산출량의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그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하이브리드 종자에 있다. 하이브리드 종자로 자란 식물에서 나온 종자는 그것과 같은 종자가 되지 못한다. 즉, 하이브리드 종자가 낳은 종자는 오리지널 하이브리드와 같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니 해마다 같은 작물을 재배 하려면 하이브리드 종자를 구입해야하고 하이브리드 종자를 '특별히' 만들어 판매하는 종자회사는 비싸게 팔 수 밖에 없고 그것은 고스란히 소비자의 몫이 된다.
물론, Non-GMO에 Organic이라고 적힌 제품을 구입하면 좋겠지만, 표시가 되지 않은 것까지 모두 보수적으로 본다면 GMO에서 자유로운 유기농 제품은 많지 않다. 그래서 왠만한 경우는1 경제적인 이유에서도 유기농이 아닌 일반 제품을 사는 경우가 많은데 유기농을 사야하는 경우가 있다. 유기농만 양배추만 파는 경우, 콘시럽과 각종 첨가물이 들어 가지 않은 토마토케첩을 살려는 경우, 합성첨가물 없는 팬케이크 가루를 살 경우, 현미를 구입할 경우 등이다. 토마토 케첩 같은 경우만 보더라도 피하게 되는 합성 첨가물과 감미료가 없는 제품은 유기농이라는 수식어와 함께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지금은 유제품을 전혀 먹지 않지만, 2-3단계의 먹이 사슬을 거치는 계란이나 유제품의 경우는 유기농과 cage-free 등을 구입했었다.
예전 몇십년 전보다 생활이 편리해진 것은 분명하다. 근데 너무 복잡해졌다. 알아야 하고 선택해야하고 챙겨야 할 것들이 너무 많다. 밥 한끼를 먹는데도 이 음식이 어떻게 내 밥상에 올라 왔는지만 생각할 때 제대로 이해하려면 너무 많은 사실과 사회적, 문화적 지식이 필요하다. 무엇을 먹던 간에 제대로 알고 먹고, 제대로 가치를 알고 비싼 값을 지불해야 하지 않을까?
Sunday, August 26, 2012
Wednesday, August 22, 2012
꿀과 설탕 그리고 그 친구들
아직 당분섭취와 관련되어 건강상의 큰 문제는 없지만, high fructose, corn syrup, artificial sweetner(흔히 알려진 사카린외 아스파탐도 여기에 포함된다.) 라는 말을 접하게 되면서 부엌 찬장에 스위트너가 궁금해지기 시작했다.
주로 내 부엌에는 황설탕, 꿀, 조청이 한동안 자리했었다. 그리고 잠시 아가베도 거처갔다. 백설탕은 아주 오래전에 한 번 딱 한봉지 사 본적이 있다. 식혜에 황설탕이나 조청을 넣기에는 별로 예쁜 색이 나지 않을 것 같아서다. 근데 백설탕의 단맛은 재미없다. 너무 밋밋하다. 정제를 통해서 당분만 남다보니 천연의 맛이 없다. 달면서도 시큼하다든지, 씁쓸하면서도 뒷맛은 고소하고 달콤하다든지 하는 그런 맛 말이다.
부엌에 뭐가 있나 달콤한 맛을 내는 양념들을 꺼냈다. 케잌 위에 장식을 위해 사용하는 fine sugar(이름만 보고 백설탕으로 만든 줄 알았는데 콘시럽과 설탕이 섞여있었다.)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건강이 많이 고려된 제품들이다.
Raw honey(Miel), organic honey(busy bee) : 이 두 제품은 열량이나 성분표는 똑같지만 제조과정에서 확연히 다른 제품을 만들어 낸다. 뻑뻑한 Raw Honey가 천연에 가까운 제품이다.
Brown rice syrup, (올리고당 포함된)조청 : 현미로 만든 조청이 단맛을 덜하지만 혈당수치와 영양성분을 고려한다면 어느 것이 답인지는 뻔하다.
Honey Powder : 아가베를 접한 후 구입한 선인장추출 꿀가루다. '선인장, 천연, 꿀, 당뇨병예방' 이 키워드들이 이 허니파우더를 유혹하는 단어들이다. 하지만 여기에는 Maltodextrin이라는 성분이 제조과정에서 들어간다. 결국 원재료가 가진 장점은 전혀 없는 제품이다. 또한 잘 녹지 않아 조리시 고려해야 한다.
Molasses, Sucanat, Turbinado sugar : 오래전 부터 보아온 흑설탕, 황설탕은 정제된 설탕에 카라멜 등의 첨가물이 들어간 저질의 제품이라는 것은 이제 다 아는 사실. 몰라세스는 조림 등에 진한 색을 내기에 좋다. 터비나도 슈가는 내가 가장 범용적으로 애용하는 스위트너.
Stevia : 단맛을 내는 천연 허브라고 할 수 있는데 당뇨 등에 좋다고 알려져있다. 이것 또한 제조과정 중에 오히려 해로운 제품으로 탄생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 합성감미료와 별만 차이가 없을 수 있다. stevia extract라고 적히 위에 제품은 천연에 가까운 성분이다. 값은 꿀보다 더 비싸다.
Tuesday, August 14, 2012
꿀
꿀
지금 내게 명절은 주변에 인사드리고 명절음식 준비하는 날이지만 어릴적에 명절이 다가옴을 실감케하는 것은 집 쌓여가던 선물들이었다. 그 중에 가끔 토종꿀이 들어왔었는데 나무박스에 한면은 유리로 마감해서 안에 벌집이 다 보였다. 어떻게 먹어야하는지 마냥 신기하기만 했었는데 잘 모르던 그 때도 왠지 아주 귀해 보였다.
지금은 다양한 형태와 브랜드의 꿀 관련 상품들이 있지만 꿀은 언제나 스위트너계의 꼭대기에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제품화 과정에 따라서 순정품 꿀과 그냥 꿀맛나는 꿀이 있다.
자연산 꿀과 인공 꿀(당밀)이 있다. 우리가 보통 접하는 갈색 액상 꿀이 후자이다. 꿀은 높은 온도에서는 영양분이 파괴되어 70-80도 물에 꿀차를 타먹듯이, 제품화 과정에서도 높은 열을 가한 액상 꿀에서는 꿀 본연 가치를 기대하기 어렵다.
반면, 한때 유행했던 마누카 꿀처럼 불투명하고 뻑뻑한 꿀이 자연산 꿀이다. 캐나다에서 많이 생산 되는데 대개 좋은 꿀 일수록 하얗고 뻑뻑하다.
Subscribe to:
Posts (Atom)